맨위로가기

알퐁스 드 라마르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퐁스 드 라마르틴은 1790년 프랑스에서 태어난 시인, 작가, 정치가이다. 그는 외교관으로 활동하며 서정시를 썼고, 1820년 『명상시집』을 발표하여 문학적으로 인정받았다. 1830년 7월 혁명 이후 정치 활동을 시작하여 1848년 2월 혁명에서 임시 정부 외무 대신을 역임했으나, 대통령 선거에서 패배한 후 정계에서 은퇴했다. 말년에는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으며, 1869년 파리에서 사망했다. 라마르틴은 사회주의적 이상을 추구했으며, 그의 작품과 사상은 한국에도 소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콩 출신 - 앙투안 그리즈만
    앙투안 그리즈만은 프랑스 출신의 축구 선수로, 레알 소시에다드,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FC 바르셀로나 등에서 활약하며 2018 FIFA 월드컵 우승, UEFA 유로 2016 준우승을 달성했고, 라리가 통산 최다 어시스트 기록을 세웠다.
  • 프랑스의 자서전 작가 - 알레한드로 호도로프스키
    칠레 출신의 예술가 알레한드로 호도로프스키는 영화감독, 작가, 심리 치료사 등 다방면에서 활동하며 초현실주의적 영화와 사이코매직으로 독자적인 예술 세계를 구축했다.
  • 프랑스의 자서전 작가 - 프랑수아 카바나
    프랑스의 작가이자 언론인인 프랑수아 카바나는 이탈리아 이민자 가정 출신으로 힘든 어린 시절을 보내고 언론계에 입문, 풍자 신문 《알라키리》와 《샤를리 에브도》를 창간하여 프랑스 언론계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이후 작가로서도 성공을 거두었다.
  • 1790년 출생 - 존 타일러
    존 타일러는 미국의 제10대 대통령으로, 윌리엄 헨리 해리슨 대통령 사망 후 부통령에서 대통령직을 승계하여 텍사스 합병을 추진했다.
  • 1790년 출생 - 사카이 다다카타
    사카이 다다카타는 마쓰야마 번주 사카이 다다노리의 아들로 태어나 쇼나이번 번주로서 번교 창설, 간척 사업, 양잠업 장려, 덴포 대기근 구제, 덴포 의민 사건 농민 요구 수용 등 번정 운영에 힘썼다.
알퐁스 드 라마르틴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알퐁스 마리 루이 드 프라 드 라마르틴
출생일1790년 10월 21일
출생지마콩, 부르고뉴, 프랑스 왕국
사망일1869년 2월 28일
사망지파리, 프랑스 제2제국
배우자엘리자 드 라마르틴 (1820년 결혼, 1863년 사별)
자녀알퐁스 드 라마르틴 (1821년–1822년)
쥘리아 드 라마르틴 (1822년–1832년)
정치 활동
정당사회당 (1833년–1837년)
제3당 (1837년–1848년)
온건 공화파 (1848년–1851년)
국회의원 (소네루아르)임기 시작: 1849년 7월 8일
임기 종료: 1851년 12월 2일
이전 의원: 샤를 롤랑
다음 의원: 제2공화국 종결
선거구: 마콩
외무부 장관총리: 자크-샤를 뒤퐁 드 뢰르
임기 시작: 1848년 2월 24일
임기 종료: 1848년 5월 11일
이전 장관: 프랑수아 기조
다음 장관: 쥘 바스티드
국회의원 (부슈뒤론)임기 시작: 1848년 5월 4일
임기 종료: 1849년 5월 26일
이전 의원: 신설 선거구
다음 의원: 조제프 마르셀랭 륄리에르
선거구: 마르세유
하원 의원 (소네루아르)임기 시작: 1837년 11월 4일
임기 종료: 1848년 2월 24일
이전 의원: 클로드루이 마티외
다음 의원: 샤를 롤랑
선거구: 마콩
하원 의원 (노르)임기 시작: 1833년 1월 7일
임기 종료: 1837년 10월 3일
이전 의원: 폴 르메르
다음 의원: 루이 드 오 드 스타플랑드
선거구: 베르그
문학 활동
직업작가
시인
활동 시기1811년–1869년
문학 사조낭만주의
장르소설

역사
희곡
전기
주제자연
사랑
영성주의
대표 작품그라치엘라 (1852년)
서명
기타 정보
교육벨레 대학

2. 생애

알퐁스 드 라마르틴은 1790년 프랑스 왕국 마콩(현 소느에루아르주(부르고뉴프랑슈콩테))의 귀족으로 태어났다. 프랑스 복고왕정 시기에 한때 군에 복무했다. 후에 외교관이 되어 1825년부터 1828년까지 이탈리아에 주재했다.

또한 자신의 연애 경험에 영향을 받은 서정시를 썼다. 특히 1820년, 『명상시집』(Méditations poétiques)을 발표하여 일약 주목받았다. 이는 그가 사랑했던 연상의 귀부인과의 만남과 사별에 자극받은 것이라고 여겨지지만, 문학적으로도 근대 프랑스 서정시의 시작으로 높이 평가된다. 이어서 『새로운 명상시집』(Nouvelles Méditations poétiques, 1823년), 『시적 종교적 조화시집』(Harmonies poétiques et religieuses, 1830년) 등을 발표했다.

1829년에는 프랑스 아카데미(Académie française) 회원으로 선출되었다.[23]

1830년 7월 혁명(la Révolution de Juillet)을 계기로 정치 활동을 시작하여 1833년에는 대의원으로 선출되었다.[23] 그는 이상주의적이었고, 정치적으로는 왕당파와 사회주의파의 중간적인 온건 사상을 가지고 있었다고 여겨진다.

이 기간 동안에도 시 외에도 소설과 『동양 기행』(Voyage en Orient, 1835년), 역사서 『지롱드파 역사』(Histoire des Girondins, 1847년) 등을 출판했다. 그러나 1840년대에 들어서면서 정치 활동에 힘을 쏟으면서 시 창작을 그만두었다.

1848년 2월 혁명(la Révolution de Février)에서 임시 정부의 외무 대신이 되었다.[24] 같은 해 12월 대통령 선거에서는 루이 나폴레옹 보나파르트(나폴레옹 3세)와 경쟁하여 패배했고, 1851년 쿠데타(coup d'état)로 정계를 은퇴했다.

말년은 불우했고, 막대한 부채 때문에 많은 작품을 계속 썼지만, 이것들은 문학적으로 평가받지 못했다.

1869년 2월 28일 파리에서 사망, 향년 78세. 소느에루아르주의 묘지에 묻혔다.[25]

2. 1. 초기 생애

알퐁스 드 라마르틴은 1790년 10월 21일 프랑스 부르고뉴 지방 마콩의 귀족 가문에서 태어났다.[3] 어린 시절 가족 소유지에서 지내며 페넬롱프랑스어(François Fénelon), 볼테르프랑스어(Voltaire), 장 자크 루소, 샤토브리앙프랑스어(François-René de Chateaubriand) 등 다양한 작가들의 작품을 읽었다.[4]

그는 1820년 《명상시집》(Les Méditations Poétiques)을 발표하며 시인으로 이름을 알렸다.[5] 이 시집에 수록된 〈호수〉(Le Lac)는 쥘리 샤를(Julie Charles)에게 헌정된 시로, 연인과의 사랑과 이별의 슬픔을 회상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6]

2. 2. 문학 활동

2. 3. 정치 활동

라마르틴은 초기에는 군주제를 지지하였으나, 1830년경부터 자유주의적 견해를 가지게 되었다.[1] 1831년 첫 국회 출마는 실패했지만, 1833년 대의원회에 당선되었다.[8] 그는 생시몽주의의 영향을 받아 자신의 "사회당"을 설립하고 7월 왕정을 비판하며, 초기에는 부르주아 왕정과 공화주의 급진파 모두를 비판했지만, 점차 공화주의자가 되었다.[1][9][10]

라마르틴은 1840년 동방 위기 당시 프랑스 정부의 결정을 비판하며, 프랑스의 동맹국인 무하마드 알리가 오스만 제국크레타, 시리아, 헤자즈를 넘겨주도록 강요한 것을 "프랑스 외교의 워털루"라고 불렀다.[11] 또한, 라메네의 추종자로서 교회와 국가의 분리를 옹호했다.[12] 1830년대 말, 그는 루이 필리프 국왕과 기조(François Guizot)에 맞서는 선두 대변인으로 여겨졌다.[13]

라마르틴(프랑수아 제라르 작, 1830년)


1848년 혁명 이후, 라마르틴은 임시 정부의 외무 장관을 역임하며, 제2공화국 수립에 기여했다. 그는 삼색기를 옹호하며, 붉은 깃발에 대해 "샹드마르스(Champ-de-Mars)만을 돌아다녔고, 사람들의 피에 끌려다녔다"고 비판했다.[15] 그는 노예제 폐지, 사형제 폐지, 노동권 보장 등 개혁 정책을 추진했다. 그러나 민주주의와 평화주의를 지지하며 대부분의 문제에 온건한 입장을 취했기 때문에 많은 추종자들을 잃었다.

1848년 대통령 선거에서 라마르틴은 자유공화당 후보로 출마했으나, 0.2%(17,210표)의 득표율로 5위에 그쳐 낙선했다.[7]

선거명직책명대수정당득표율득표수결과당락
1848년 선거대통령1대자유공화당0.2%17,210표5위낙선



이후 그는 정계에서 은퇴하고 문학에 전념했다.

2. 4. 말년



라마르틴은 제2제정 시대에 역사, 비평, 개인적인 고백, 문학적 대화 등 다양한 주제에 관한 책들을 출판했다. 은퇴 후 사생활에 몰두하며 채권자들에게 시달리던 그는 스스로 "존재하고 빚을 갚기 위한 문학적 강제노동"이라 부르는 삶을 살았다.[16] 막대한 부채로 인해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으며,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 ''가정 문학 강좌(Cours familier de littérature)''를 월간 연재로 출판하는 등 다수의 작품을 집필했다.[16] 프레데리크 미스트랄(Frédéric Mistral)의 명성은 라마르틴이 ''가정 문학 강좌(Cours familier de littérature)'' 40번째 호에서 그의 장시 ''미레이(Mirèio)''를 칭찬한 덕분이기도 하다. 미스트랄은 현대 오크어 문학에서 가장 존경받는 작가이다. 1869년 파리에서 사망했으며, 그의 유해는 소느에루아르주에 묻혔다.[25]

3. 사상

라마르틴은 사회가 토지 소유주, 주택 소유주, 투자자, 수공업자, 상인, 제조업체, 농부 등 다양한 직업과 생활 방식으로 구성된다고 보았다.[21] 그는 부유한 사람, 가난한 사람, 육체 노동자, 정신 노동자 등 다양한 계층이 존재하지만, 이들 사이의 차별은 사라져야 한다고 주장했다.[21] 특히, 혁명 이후 미국, 유럽, 프랑스 사회는 모든 장벽, 계급 명칭, 인간 사이의 해로운 차별을 허물었다고 평가했다.[21]

라마르틴은 가톨릭 사제에 대해 "각 본당에는 가족은 없지만 전 세계적인 가족에 속한 한 남자"라고 묘사하며, 그들이 인생의 중요한 순간에 증인이자 조언자 역할을 한다고 보았다.[22] 사제는 요람과 결혼식, 임종의 침대, 관을 축복하고, 순진한 아이들과 연로한 사람들에게 존경받는 존재로 여겨졌다.[22] 또한, 사제는 고통받는 자를 위로하고 부자와 가난한 자 모두에게 조언을 하는 등 사회 계급에 관계없이 모든 계급에 속한다고 생각했다.[22]

3. 1. 정치 사상

3. 2. 사회 사상

라마르틴은 노예제와 사형제에 반대하고 노동자의 권리를 옹호했으며, 사회적 불평등 완화와 빈곤 퇴치를 위한 정책을 지지했다.[21] 그는 생시몽주의의 영향을 받아 사회주의적 이상을 추구하기도 했다.[21]

라마르틴은 저서 ''대중 속의 무신론''(Atheism Among the People)에서 혁명 이후 미국, 유럽, 프랑스 사회가 모든 장벽, 계급 명칭, 인간 사이의 해로운 차별을 허물었다고 주장했다. 그는 사회가 국가를 구성하는 사람들 사이의 다양한 조건, 직업, 직무, 생활 방식으로만 구성된다고 보았다. 토지 소유주, 주택 소유주, 투자자, 수공업자, 상인, 제조업체, 농부, 소작농, 부유한 사람, 가난한 사람, 육체 노동자, 정신 노동자 등 다양한 계층이 존재하지만, 이들은 서로 유동적이며, 소작농이 농부나 제조업자가 될 수도 있고, 가난한 사람이 부유해질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21] 특히, 그는 손 이외에는 개인 소유물이 전혀 없는 사람들을 "대중"이라고 부르며, 이들이 작업장, 들판, 다른 사람들의 집에서 일하며 생계를 유지한다고 언급했다.[21]

3. 3. 종교 사상

라마르틴은 독실한 가톨릭 신자로 성장했으나, 이후 범신론적 견해를 갖게 되었다. 그는 교회와 국가의 분리를 주장했다.

로버트 내시의 1943년 저서 "A Priest"에서 라마르틴은 가톨릭 사제에 대해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각 본당에는 가족은 없지만 전 세계적인 가족에 속한 한 남자가 있습니다. 그는 인생의 모든 중요한 일에 증인이자 조언자로 불립니다. 그를 거치지 않고 세상에 태어나거나 세상을 떠나는 사람은 없습니다. 그는 어머니의 팔에서 아이를 맡아 무덤에서야 비로소 아이와 헤어집니다. 그는 요람과 결혼식, 임종의 침대, 그리고 관을 축복하고 성별합니다. 그는 순진한 아이들이 본능적으로 존경하고 숭배하는 사람이며, 연로한 사람들은 그에게 지혜를 구하고 아버지라 부릅니다. 사람들은 그의 발 앞에 엎드려 영혼의 가장 깊은 생각을 드러내고 가장 신성한 눈물을 흘립니다. 그의 사명은 고통받는 자를 위로하고 육체적, 정신적 고통을 완화하는 것입니다. 부자든 가난한 자든 그의 문을 두드립니다. 그는 어떤 사회 계급에도 속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그는 모든 계급에 동등하게 속하기 때문입니다. 결론적으로 그는 모든 것을 알고, 거리낌 없이 말할 권리가 있으며, 하늘로부터 영감을 받은 그의 말은, 신으로부터 보냄을 받은 자의 권위와 흔들림 없는 신앙을 가진 자의 구속력 있는 힘으로 모든 사람의 마음과 심장에 떨어집니다." [22]


말년에는 다시 가톨릭 신앙으로 돌아왔다.

4. 작품 목록


  • ''사윌'' (1818)
  • ''시적 명상'' (1820)
  • ''새로운 명상'' (1823)
  • ''시적 종교적 조화'' (1830)
  • ''합리적 정치에 관하여'' (1831)
  • ''동방 여행'' (1835)[20]
  • ''조슬랭'' (1836)
  • ''천사의 추락'' (1838)
  • ''시적 묵상'' (1839)
  • ''지롱드파의 역사'' (1847)
  • ''혁명의 역사'' (1849)
  • ''러시아의 역사'' (1849)
  • ''라파엘'' (1849)
  • ''고백'' (1849)
  • ''투생 루베르튀르'' (1850)
  • 제네비에브, 하녀의 이야기/Geneviève, histoire d'une servante프랑스어 (1851)
  • ''그라치엘라'' (1852)
  • https://archive.org/details/heloseetablard00lamagoog ''엘로이즈와 아벨라르'' (1853)
  • ''환영들'' (1853)
  • [http://catalog.hathitrust.org/Record/006088866 ''터키의 역사''] (1854)
  • [http://catalog.hathitrust.org/Record/011441950 ''가정 문학 강좌''] (1856)

4. 1. 시집

라마르틴은 1820년 『명상시집』을 발표하였다. 1823년에는 『새로운 명상시집』과 『소크라테스의 죽음』을 발표하였다. 1830년에는 『시적 종교적 조화시집』을 발표하였다. 1839년에는 『명상시집』을 발표하였다.

4. 2. 소설

라마르틴은 『조슬랭』 (1836), 『천사의 추락』 (1838), 『라파엘』 (1849), 『그라치엘라』 (1849) 등의 소설을 발표했다. 『생투아르의 석공』(1851),제네비에브, 하녀의 이야기/Geneviève, histoire d'une servante프랑스어(1851), 피오르 달 리자/Fior d'Aliza프랑스어(1863), 안토니엘라/Antoniella프랑스어 (1867)등을 발표했다.

4. 3. 희곡

라마르틴은 1813년에 비극 《메데이아》를 집필하였으며, 1819년에는 《사울》을 집필하였다. 1850년에는 《투생 루베르튀르》를 발표하였다.

4. 4. 역사서

라마르틴은 1847년 《지롱드당 역사》를 출간하였고, 1851년에는 《프랑스 부르봉 왕정 복고사》를 저술하였다. 1853년에서 1854년에 걸쳐 《터키사》를 썼으며, 1855년에는 《러시아사》를 집필하였다.

4. 5. 회고록 및 기행

알퐁스 드 라마르틴(Alphonse de Lamartine)은 오리엔탈리스트로서, 레반트와 성경의 주제를 바탕으로 이국적인 동양 세계와 유사한 줄거리, 영웅, 풍경을 창조했다.[17] 특히 레바논과 중동에 관심을 가졌던 그는 1832년부터 1833년까지 레바논, 시리아, 성지를 여행했다.[18] 이 여행은 그에게 기독교 아이콘, 상징, 지형에 대한 회복과 몰입의 여정으로 여겨졌으며, 그는 이 지역이 유럽을 파괴로부터 구할 새로운 기독교와 영성의 부활을 가져올 수 있다고 보았다.[20]

레바논 여행 중 그는 바시르 시합 2세(Bashir Shihab II) 왕자와 시몬 카람(Simon Karam) 왕자를 만났고, 이들의 시에 대한 열정에 영향을 받았다. 레바논 삼나무 숲에는 그가 앉았던 삼나무라고 전해지는 "라마르틴 삼나무(Lamartine Cedar)"가 있으며, 레바논의 한 계곡은 그의 방문을 기념하여 라마르틴 계곡(Valley of Lamartine)이라고 불린다. 그는 1838년 서사시 ''La Chute d'un ange''(''천사의 추락'')의 배경을 레바논으로 설정하기도 했다.

어머니에게 동물의 생명을 존중하도록 교육받은 그는 고기를 먹는 것을 혐오했다. "인간을 위한 마음과 동물을 위한 마음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닙니다. 마음이 있거나 없거나 둘 중 하나입니다"라고 말한 그의 저서 ''La chute d’un Ange'' (1838)과 ''Les confidences'' (1849)는 20세기 채식주의 지지자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라마르틴은 『동양 여행』 (''Voyage en Orient'', 1835), 『1848년 혁명사』 (''Histoire de la révolution de 1848'', 1849), 『속마음』 (''Confidences'', 1849)등의 회고록 및 기행 관련 저서를 남겼다.

5. 영향

5. 1. 문학적 영향

5. 2. 정치적 영향

5. 3. 사회적 영향

6. 평가

6. 1. 긍정적 평가

6. 2. 부정적 평가

7. 한국과의 관계

7. 1. 번역 및 소개

라마르틴의 작품은 일찍부터 한국에 번역되어 소개되었다. 그의 시와 소설은 한국 문학에 영향을 미쳤다. 그의 정치, 사회 사상도 한국 지식인들에게 알려졌다.

1901년 가토 시호(加藤紫芳)가 번역하고 기타야니와키치(北谷岩吉)가 출판한 『두 용감한 여인』은 『지롱드당사(ジロンド党史)』에서 발췌한 번역본이다. 1924년에는 다카하시 쿠니타로(高橋邦太郎)가 『청춘의 꿈 - 그라지엘라』를 신초사(新潮社)에서 출판하였다. 1942년에는 사쿠라이 시게오(桜井成夫)가 『젊은 시절의 꿈 - 그라치엘라』를 쇼모리샤(昭森社)에서 출판하였고, 1957년 각카쿠쇼텐(角川書店)의 각카쿠문고(角川文庫)로 다시 출판되었다. 1946년 사쿠라이 시게오(桜井成夫)는 『청춘의 초상』을 오카쿠라쇼보(岡倉書房)에서 출판하였다. 1949년에는 사쿠라이 시게오(桜井成夫)의 『호반의 사랑 - 라파엘』이 아오키샤(蒼樹社)에서 출판되었고, 1953년 각카쿠쇼텐(角川書店)의 각카쿠문고(角川文庫)로 다시 출판되었다. 같은 해 미세무 신지(店村新次)가 번역한 『호반의 연인』이 코우분샤(晃文社)의 프랑스 문학선집으로 출판되었다.

1956년 소겐샤(創元社)의 『세계 소년소녀 문학전집 49 - 세계 전기 문학집』에는 미야자키 레이유(宮崎嶺雄)가 번역한 「잔 다르크(ジャンヌ・ダルク)」가 수록되었다. 1968년 쇼가쿠칸(小学館)의 『소년소녀 세계의 명작 문학 19 - 프랑스편 1』(카와바타 야스나리(川端康成) 외 감수, 스기 카츠오(杉捷夫) 편)에는 타케다 야스하루(竹田靖治)가 번역한 「라마르틴 시(ラマルチーヌ詩)」가 수록되었다.

7. 2. 연구 현황

8. 역대 선거 결과

wikitable

선거명직책명대수정당득표율득표수결과당락
1848년 선거대통령1대자유공화당0.2%17,210표5위낙선


참조

[1] 서적 Trauma and Its Representations: The Social Life of Mimesis in Post-Revolutionary France https://archive.org/[...]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1
[2] 서적 The Encyclopedia of World Facts and Dates HarperCollins
[3] 서적 The Life of Lamartine, Volume 1 https://books.google[...] BiblioBazaar (2009) 2010-11-14
[4] 웹사이트 Alphonse de Lamartine http://www.catholic.[...]
[5] 웹사이트 Alphonse de Lamartine http://www.catholic.[...] 2016-04-21
[6] 서적 Une écoute du romantisme Editions L'Harmattan
[7] 서적 Francois Mauriac on Race, War, Politics and Religion CUA Press
[8] 학술지 Lamartine https://doi.org/10.2[...] 1919
[9] 서적 Alphonse de Lamartine: History of the Revolution of 1848 Palgrave Macmillan 1969
[10] 학술지 Lamartine https://doi.org/10.2[...] 1919
[11] 서적 Levant: Splendour and Catastrophe on the Mediterranean Hachette UK
[12] 학술지 Lamartine https://academic.oup[...] 1919
[13] 학술지 Lamartine https://doi.org/10.2[...] 1919
[14] 학술지 Lamartine https://doi.org/10.2[...] 1919
[15] 서적 Trois mois au pouvoir https://books.google[...] Michel Levy
[16] 서적 Between Religion and Rationality: Essays in Russian Literature and Cultur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7] 서적 Orientalism and the Hebrew Imagination Cornell University Press
[18] 서적 DK Eyewitness Travel Guide: Jerusalem & the Holy Lands Penguin
[19]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French Literature Scarecrow Press
[20] 서적 The Culture of Sectarianism: Community, History, and Violence in Nineteenth-Century Ottoman Leban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1] 서적 Atheism among the people https://archive.org/[...] 2016-04-21
[22] 웹사이트 A Priest http://catholicpamph[...] Catholicpamplets.net 2016-04-21
[23] 웹사이트 Alphonse de LAMARTINE http://www.academie-[...] Académie française 2020-07-02
[24] 웹사이트 ラマルティーヌ https://kotobank.jp/[...] 2020-07-02
[25] 웹사이트 SAINT-POINT (71) : cimetière https://www.landruci[...] Cimetières de France et d'ailleurs 2020-07-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